본문 바로가기
화재안전기준

할론소화설비의 화재안전기준 (NFSC 107)

by 스토리치 2022. 1. 4.
반응형

 

 

 

 

안녕하세요 리우STORY 입니다 : )

 

할론소화설비의 화재안전기준 (NFSC 107)

 

 


 

제3조(정의) 이 기준에서 사용하는 용어의 정의는 다음과 같다.   


1. "전역방출방식"이란 고정식 할론 공급장치에 배관 및 분사헤드를 고정 설치하여

 밀폐 방호구역 내에 할론을 방출하는 설비를 말한다. 

<개정 2012. 8. 20., 2018. 11. 19.>

2. "국소방출방식"이란 고정식 할론 공급장치에 배관 및 분사헤드를 설치하여 직접 화점에 할론을 

방출하는 설비로 화재발생부분에만 집중적으로 소화약제를 방출하도록 설치하는 방식을 말한다. 

<개정 2012. 8. 20., 2018. 11. 19.>

3. "호스릴방식"이란 분사헤드가 배관에 고정되어 있지 않고 소화약제 저장용기에 호스를

 연결하여 사람이 직접 화점에 소화약제를 방출하는 이동식소화설비를 말한다. 

<개정 2012. 8. 20.>

4. "충전비"란 용기의 체적과 소화약제의 중량과의 비를 말한다. 

<개정 2012. 8. 20.>

5. "교차회로방식"이란 하나의 방호구역 내에 2 이상의 화재감지기회로를 설치하고 인접한 2 이상의 화재감지기가 동시에 감지되는 때에는 할론소화설비가 작동하여 소화약제가 방출되는 방식을 말한다. 

<개정 2012. 8. 20., 2018. 11. 19.>

6. "방화문"이란 「건축법 시행령」제64조의 규정에 따른 갑종방화문 또는 을종방화문으로써 언제나 닫힌 상태를 유지하거나 화재로 인한 연기의 발생 또는 온도의 상승에 따라 자동적으로 닫히는 구조를 말한다. 

<개정 2012. 8. 20.>

 

출처 :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


 

 

#할론소화설비의 화재안전기준 (NFSC 107) PDF 파일 입니다.

 

 

할론소화설비의 화재안전기준(NFSC 107)(소방청고시)(제2018-16호)(20181119).pdf
0.21MB

 

출처 :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


 

 

 

이 블로그는 여러분들과 함께 자료를 공유하며

함께 성장해 나가는 블로그를 만들려고 노력하고 있어요.

궁금하신 내용은 댓글 혹은 비밀댓글을 통해서

남겨 주시면 내용에 따라 포스팅 및 답글 남겨드릴게요.

 

리우STORY 방문 감사드립니다.

 

반응형

댓글